풍수란 장풍득수 즉 바람을 가두고 물을 얻는다는 말로 중국 진 나라 때 곽박이 지은 장경에서 유래 되었다.
감여, 지리, 지술이라고도 하며 풍수 일을 하는 사람을 말하기도 하느니 땅에는 생기가 흐르고 있는데 이 생기를 받아 인생의 행복을 추구하는 법술이 바로 풍수다.
특히 명당의 모양을 중시하는 형국론은 거의 독보적이다.
이 풍수의 목적은 크게 둘로 나뉘는 데
그 첫째는 산자의 거처인 주택을 좋은 땅에 지어서 행운을 구하려는 것이고
둘째는 죽은 조상의 묘를 좋은땅에 잡아 자손의 번영을 꾀 하려는 것이니라
곧 추길피흉이라는 말이다
땅은 살아 있으며 인간의 어머니와 같다
초목만 키우는것이 아니다
땅은 인간을 생육하느니 그래서 어머니라 하는 것이니라
인간은 땅 위에서 살다가 나중에는 땅으로 돌아간다
어머니의 품에서 살다가 어머니의 품속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땅을 어머니로 보기때문에 풍수에서는 인간을 젖먹는 아기와 같이 취급한다
풍수 명당 자리가 여성의 유방 혹은 성기의 모양을 띄는 건 다 그런 소치에서이니라
풍수에서 용이란 보통 산을 가르키는 말이지만 평지보다 조금만 높아도 용이라 할 수 있다
이 나라의 모든 용은 태조산인 백두산에서 뻗어 나오는데
등뼈와도 같이 큰 줄기를 간용 간용에서 갈라져 나오는것을 지룡이라고 한다
용이 생기를 맺는것을 혈이라 한다
봉분을 뒤에서 봐서 왼쪽이 높으면 남자이고 오른쪽이 높으면 여자이다
바위가 없는 흙 산에는 바위가 있는 곳이 명당이고 돌산에는 흙이 있는 자리가 명당
살 만한 땅을 고르지 말고 살고 있는 땅을 사람에 맞게 가꾸라
집에 돌아온 득량은 전혀 새로운 자세로 다시 산서를 꺼내 들춰보기 시작했다
이제부터 그가 읽어내야 할 것은 명당을 찾는 법술이 아니라 명당을 보전 하는 묘책이었다
그는 청오경을 필두로에서 여러 산서들을 되짚어 나갔다
자연은 살아 있다는 것, 때문에 산을 숭배하고 바람을 숭배하고 물을 숭배해야 한다는 것
아무리 귀한 용도 그 세를 다치게 되면 천한 용이 된다는 것,
생기를 그대로 받아야만 명당 구실 제대로 한다는것 등등의 가르침은
딱히 어느 한 구절을 끄집어 내지 않더라도 산서 마다에 기초가 되어 흐르고 있었다
명심해라 할애비가 평생을 두고 찾아온 명당을 백개 천개 찾는 일 보다
명당 아닌 땅을 명당으로 가꾸는 일이 훨씬 더 값이 있다는 사실을
'삶의 지혜를 찾아서 > 인문학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마의 부엌으로 초대합니다(울라 마이넥케 지음) (0) | 2021.05.28 |
---|---|
미친 세상을 이해하는 척하는 방법 (움베르토 에코) (0) | 2021.05.11 |
구운몽(최인훈) (0) | 2021.02.13 |
광장(최인훈) (0) | 2021.02.02 |
하버드 철학자들의 인생수업(대니얼 클라인, 토머스 캐스카트) (0) | 2020.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