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지혜를 찾아서/인문학 산책

오리지널스 (애덤 그랜트)

by 굼벵이(조용욱) 2018. 6. 16.
728x90

성취에 높은 가치를 부여할수록 실패를 두려워 하게 된다
성공하겠다는 욕구가 강하면 나만의 독특한 무엇을 달성하기보다는
성공이 보장된 길을 택하고 싶어진다
직장을 계속 다닌 창업가들이 실패 할 확률은
직장을 그만 둔 창업가들이 실패할 확률보다 33% 낮았다
​한 분야에서 안정감을 확보하면 다른 분야에서는 자유롭게 독창성을 발휘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뜻밖에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창의적인 업적이나 변화를 가져온 이들 가운데는
시간을 끌었기에가능했던 사례들이 있다
시간을 끌고 행동을 미루는 성향을 지닌 기업가들은
오래도록 견고하게 유지되는 회사를 만들고 그런 성향을 지닌 지도자들은
변화의 주역이 되고 그런 혁신가들은 나이가 들어서도 독창성을 유지한다
​수없이 많은 개구리에게 입맞춤을 해 봐야 그중에 왕자를 하나 찾아낼 수 있다
​사람들은 특정 분야에 대해 보통 정도의 전문성이 있을 때
과감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가장 열린사고를 지니게 된다
​사람들은 특정 아이디어에 대해 10회에서 20회 정도 노출될 때 호감도가 증가하고
다소 복잡한 아이디어의 경우는 횟수가 그보다 조금더 늘어날 때 호감도가 증가한다는 증거가 있다
​지나치지만 않으면 냉소주의는 상당히 효과적이다
​모레 해도 되는 일을 내일로 앞당기지말라 (마크 트웨인)
​역사상 가장 독창적인 사상가나 발명가들 가운데 몇몇 인물이 미루기의 달인이라는 점은
우연이 아닐지 모른다
가장 가장 두드러진 사례가 레오나르도 다빈치다
할일을 미루면 생산성은 떨어질지 몰라도 창의력의 원천이 될 수 있다
모나리자를 그리기 시작한 해는 1503년이고
그 후 몇년 동안 그리다 말다를 반복 하다가 미완성인채로 남겨두었으며
1519년 죽음이 임박해서야 완성했다고추측한다
​통찰력이 필요한 문제를 풀때는 올빼미 형은 아침 일찍 풀었을때 더 잘 풀었고
아침형인간인 학생들은 오후 늦게 문제를 더 잘 풀었다
학생들은 정신이 명료할 때는 지나치게 잘 짜인 단선적 사고를 할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이는 색다른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데 방해가 되었다
그러나 정신이 몽롱할때는 마구잡이로 생각이 떠올랐다
​사람들은 완성된 작업보다 미완성 작업에 대해 더 잘 기억한다
이를 자이가르닉 효과라 한다
​새로운 지도자가 부서나 조직을 맡게 되면 변화를 일으키려는 의욕이 넘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좀 참고 기다리는것이 좋다
작업의 중간지점이 지도자가 변화를 꾀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라는 점을 발견했다
그때가 집단이 가장 독창성이 열린 마음을 지니게 되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은 직원들이 젊은 직원들보다 훨씬 많은 아이디어를 제출하고
아이디어의 질도 훨씬 높으며 가장 가치있는 제안은 주로 55세 이상인 직원들로부터
나온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애증이 교차하는 관계인 친적보다는
순수하게 적대적 관계인사람들과 협력관계를 맺는것이 훨씬 더 현명하다
​독창적인 사람들이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건한 과격파가 되어야 한다
​상대방도 우리와 가치관이 같다고 여기거나 우리의 가치를 채택하라고 상대방을 설득하지 말고
우리의 가치를 상대방이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시켜 줄 수단으로 제시해야한다
​두살에서 10살까지의 어린이들은 6분에서 9분마다
부모로부터 행동을 고치는 훈육을 받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부정행위를 하지 마세요라는 말보다 부정 행위자가 되지 마세요라고 하는것이 낫다
부정행위를 하지 말라고 하면 부정 행위를 하고도 자신은 윤리적인 사람이라고 여길 수 있다
그러나 부정 행위자가 되지 말라고 하면 부정을 저지르는 행위가
자신의 정체성에 흠집을 낸다고 생각하게 된다
​음주운전을 하지 맙시다 보다는 음주 운전자가 되지 맙시다가 더 효과가 있다는 주장이 있다
사실 우리가 서로에 대해 절대로 용서하지 않는 유일한 죄는 의견 차이뿐이다 (랠프 월도 에머슨)
​많은 연구결과를 보면 지도자들은 직원들이 문제점을 거론할 때보다
해결책을 제시할 때 더 긍정적으로 반응한다
그러나 집단사고의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해결책을 종용하는 방법에는 많은 단점이 있다
​해결책보다는 문제를 제기하도록 해야 한다
​방어적 비관주의는 특정상황에서 불안감 두려움 걱정스러운 마음을 다스리는 데 사용되는 전략이다
그들은 일부러 처참한 실패의 상황을 상상함으로써 불안감을 강화하고
더 강렬해진 불안감을 통해 동기를 부여받는다
일단 최악의 경우를 상정하고 나면 그들은 그런 상황을 피하고자 하는 동기가 생기고
실패하지 않도록 모든 구체적인 상황을 치밀하게 준비해서 자신이 상황을 장악했다는 자신감을 얻는다
​방어적 비관주의가 중요한 추진력이 되지만
확신이 흔들릴 때는 그것이 역으로 불안감과 회의를 야기할 수 있다
​사람들이 위험을 무릅쓰게 만들고 싶다면 그들에게 혼자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 주어야 한다
​사람들을 안전지대에서 몰아내고 싶다면 현재 상태에 대한 불만 좌절 분노를 느끼게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