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지혜를 찾아서/인문학 산책

상처로 숨쉬는 법(김진영) - 1강. 아도르노를 만나며

by 굼벵이(조용욱) 2022. 3. 2.
728x90
​아이들은 개념 사유를 하지 않죠.
모든것을 이미지로 만나요
​변증법적 사유란 개념을 가지고 개념을 넘어서는 일이다
개념을 가지고 개념화 할 수 없는 무엇을 포착 하는 일이다
개념을 자기 한계에 도달할 때까지 밀고 나가야 한다
 
​아도르노의 중요한 명제들은 다음과 같다
- 삶을 살고 있지 못하다 
- 잘못된 삶 안에 올바른 삶은 존재할 수 없다 
- 모든것이 거짓이다 
- 문화는 쓰레기다 
- 모든것이 자연의 표현이다 
- 모든것이 거짓인 사회에서 진실은 거짓일수밖에 없다 
- 가장 자연적일 때 그것은 역사적인 것이며 가장 역사적일 때 그것은 자연적인 것이다 
- 되돌아 가는 일은 퇴행일 뿐이다 
- 이론이 실천이다
우리가 문화라고 얘기하는 것, 문명이라 얘기하는것은 자연 상태로부터 한번도 해방 되어 본적이 없다
헐 벗었고 원시적이며 야만적이다
​예술은 거짓말이다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들은 근본적으로 겁쟁이다
​물이 꺾어지는 지점과 떨어진 지점을 침묵과 통곡의 지점으로 얘기해요
이 통곡은 왜 일어난 거냐하면 떨어지는 사이에 우리는 그제야 사랑이 무엇인지 알게 되기 때문이다
​경계를 넘어 섰을 때 알게 되는것이 사랑이라는 겁니다
이 사랑을 깨달았기 때문에 떨어질 때 통곡을 한다는 거죠
​어떤 경계를 넘어서기 전까지는 사랑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는 거예요
​철학적으로 얘기하면 인식의 딜레마에요
알고 나면 이미 늦었어요
​우리는 언제나 사실을 보는 게 아니라 내가 바라는 욕망을 보아요
라캉식으로 얘기하면 우리는 절대로 리얼을 알 수 없다고 하지 않습니까
​진정한 비판은 존경할 때만 가능하죠
​하버마스는 문명화 과정은 세분화 과정이다라고 했습니다
​아도르노가 볼때 이 사회는 겉보기엔 자유와 행복을 구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치적 영역에서는 파시즘으로 건너가는 과정이에요
파시즘이 다른 게 아니죠
약자는 누르고 강자는 승하는 약육강식의 정치제도예요
또한 경제는 가진 자들의 생산력에 완전히 종속 되어 버려요
독점 같은 방법을 통해서 가진 자들의 생산력에 종속되어 버리는것이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요
​인간적인 욕구를 시장으로 끌어 들여서 돈벌이를 위해 조작하는 게 문화에요
문화에서 중요한것은 인간적인 욕구입니다
​문제는 이 욕구가 인간적인 것이라는 사실을 잊으면 안된다는 거죠 
우리는 죽어 가는 존재로서 고독을 참을 수 없기 때문에 함께 살기에 대한 결핍이 있어요
​인간적인 욕구가 현대사회로 들어오면 어떻게 될까요
조작 되고 가짜로 채워졌다가 다시 빼앗는다는 말입니다
빼앗아야 또 욕구가 생길 테니까요
인간적 욕구에 대한 영원한 시지포스 신화적 조작 행위가 이뤄지는 거죠
줬다가 뺏었다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아주 좋은 능력 중 하나가 무언가를 참을 줄 안다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