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봄무들기 농장

최인훈의 광장을 읽는 이유와 내 삶

by 굼벵이(조용욱) 2023. 4. 28.
728x90
2021년 2월 2일 
공유 대상: 전체 공개
 
 
"꿈, 사람은 꿈에 속아서 사는 것 같아요."
"젊은 사람 치고 이상 주의적인 사회 개량의 정열이 없는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젊은이들은 방황하며 이상향을 찾아 떠나지만 그들이 안주할 수 있는 '광장'을 찾지 못하고 결국 푸른 바다(죽음)를 자신의 광장으로 택한다.
광장에는 꼭두각시뿐 사람은 없었기에.
'북한이란 제가 낸 신명이 아니라 무쇠 같은 멍에가 다스리는 곳, 사랑과 용서가 아니라 미움과 앙갚음만 있는 곳, 러시아 정교의 성경 대신 마르크스를 택한 곳. 하나님이 다시 온다는 말이 2천년 동안 미루어 온 것처럼 공산낙원의 재현은 아직도 진행형인 곳.'
​'남한이란 키에르케고르 선생식으로 말하면 실존하지 않는 사람들의 광장 아닌 광장.
북한식 미친 믿음이 무섭지만 숫제 어떤 믿음조차 없는 곳. 그래서 좋은데가 있다면 타락할 수 있는 자유와 게으를 수 있는 자유가 있는 곳.'
이 두 곳을 모두 힘겹게 경험한 이명준에게
'이동무가 수상이라면 어떡하시겠어요?'란 질문을 던지자,
"나? 나라면 이런 내각명령을 내리겠어.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의 국민은 삶을 사랑하는 의무를 진다.
사랑하지 않는자는 인민의 적이며, 자본가의 개이며, 제국주의자들의 스파이다.
누구를 묻지 않고 사랑하지 않는자는 인민의 이름으로 사형에 처한다.
이렇게 말이야" 라고 한다.
'죽기 전에 부지런히 만나요' 하며 온 몸으로 사랑을 던지는 은혜를 향해서는
​'이 여자를 죽도록 사랑하는 수컷이면 그만이다.'라며 자신의 실존을 정의한다.
'이 햇빛, 저 여름 풀, 뜨거운 땅, 네개의 다리와 네개의 팔이 굳세게 꼬여진, 원시의 작은 광장에 여름 한낮의 햇빛이 숨가쁘게 헐떡이고 있었다. 바람은 없다.'며 작가의 마지막 생각을 정의한다.
사람마다 다른 몸의 길, 마음의 길, 무리의 길이 있다.
지나치게 무서운 남과 북의 경험으로 지쳐 빠진 몸이, 자연의 수명을 다하길 기다리면서 쉬기 위해서 선택한 것은 중립국행이었다.
아무도 나를 아는 사람이 없는 땅, 하루 종일 거리를 싸다닌대도 어깨 한번 치는 사람이 없는 거리, 내가 어떤 사람이었던 지도 모를 뿐더러 알려고 하는 사람도 없는 곳.
자유를 선택한 것이다.
초근목피로 살지언정 자연을 고집하는 나같은 사람들의 존재방식이다.
만일 정치하시는 페친님들 중 최인훈 선생님의 '광장'을 읽지 않으신 분이 계시다면 꼭 일독을 권하고 싶습니다.
정치도 사랑입니다.
 
모든 공감:
회원님, 신창수, 우인섭  외 85명
댓글 22개
 
좋아요
 
 
댓글 달기
 
공유하기